[이슈큐브] 日, 원전 오염수 방류…방사능 감시·추적 방법은?<br /><br /><br />일본 정부가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의 해양 방류를 공식 결정하면서 국내외에서, 많은 논란과 우려를 낳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이에 우리 해역에 대한 방사능 감시·추적을 어떻게 할지에도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이헌석 에너지정의행동 정책위원과 관련 내용 짚어보겠습니다.<br /><br />어서 오세요.<br /><br /> 일본은 지난해 10월과 12월 오염수의 해양 방류를 결정하려고 했으나 연기한 바 있습니다. 현재 한국 외에도 세계 24개국의 311개 단체도 반대 의사를 표명한 상태인데요. 그럼에도 해양 방류를 강행하는 이유를 어떻게 봐야 할까요?<br /><br />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실제 방출 개시까지는 향후 1년 반에서 2년이 소요될 전망입니다. 한반도 해역의 방사능 오염수 감시에도 비상이 걸렸는데요. 오염수가 언제, 어디에, 얼마나 도달할지 이를 추적하는 방법이 있을까요?<br /><br /> 연간 3만 톤 규모의 일본산 수입 수산물에 대한 안전성 우려도 커지고 있습니다. 이에 따라 해수부는 방사성 물질 조사 횟수를 4회에서 6회로 늘리고 원산지 단속도 강화하는 방안도 추진할 예정이라고 하는데요. 문제는 실효성이죠?<br /><br /> 현재 해수부는 후쿠시마현 등 일본 8개 현의 모든 수산물의 수입을 금지하고 있습니다. 수입 금지 조치 확대가 필요한 것 아닐까요?<br /><br /> 하지만 이 같은 조치 모두 오염수가 우리 바다로 이미 흘러들어온 뒤에야 펼칠 수 있는 셈 아닙니까? 선제적으로 수산물 안전을 담보할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은데요. 어떤 대안이 필요하다고 보십니까?<br /><br /> 후쿠시마 오염수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이나 부정확한 정보가 소비 위축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관련 대책도 필요하지 않을까 싶은데요?<br /><br /> 지난해 12월 국제원자력기구(IAEA)는 일본의 오염수 방류가 기술적으로 가능하다면서 지지 의사를 밝힌 바 있고요. 이번에도 국제적 관행이라며 환영한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. 여기엔 IAEA와 일본의 이해관계가 깔려있다는 관측도 있는데, 어떤 곳입니까?<br /><br /> 미국 정부도 일본의 오염수 방류를 '국제 안전 기준에 따른 것'이라고 평가했는데요.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지 점검하겠다는 뜻이라는 해석도 있습니다만, 미국은 왜 오염수 방류를 지지하는 건가요?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